정치일반

저출생 극복? 좀 더 시야를 넓혀야 하는 이유

 싱가포르는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의 밤'이라는 캠페인을 진행했지만, 2023년 합계출산율이 0.97명에 그쳤다. 한국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과 함께 육아휴직 급여를 상향 조정하고,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대책이 예산 투입과 현금 지원 규모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가족 관련 지출은 OECD 평균에 비해 낮고, 주택 대출 지원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신혼부부에게만 국한되어 있다. 저출생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사회 불평등에 있으며, 정부의 정책은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 있다는 비판이 있다.

 

결국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은 단순히 출산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노동 시장의 구조를 개선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청년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고, 외국인 노동자의 권리와 처우 개선도 필요하다.

 

인구 감소가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며, 이를 기회로 삼아 사회 전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노동 인구를 확대하고,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은 출산율 증가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육아 책임과 노동 불평등 해소로 나아가야 하며, 인구 규모에 상관없이 시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