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영화관의 미래? 혁신적인 경험으로 수요를 끌어모으다

 롯데시네마 홍대입구점은 상영관 한 곳을 이용해 독특한 이벤트를 열었다. 입구를 지나자마자 화면과 함께 익숙한 영화관 좌석 5개가 눈에 띄는데, 좌석에 앉아 상영되는 짧은 영상은 관객을 초등학교 동창생 관계로 상정하게 한다. 관객들은 낯선 시골 동네에서 전문 배우들과 함께 탈출 게임에 참여하게 된다.

 

이처럼 영화계는 팬데믹 이후 관객 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라이브 시네마관’을 비롯한 새로운 수익 모델을 탐색하고 있다. 상영관을 개조하여 특별한 체험을 제공하는 '라이브 시네마관'은 주말 회차의 티켓 가가 24만 원임에도 전체 매진 상태다. 롯데컬처웍스 관계자는 “이 행사는 관객들의 영화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시작했으며,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GV가 진행하는 다른 실험은 '스낵무비'로, 현대자동차와 배우 손석구가 만든 13분 분량의 단편영화 ‘밤낚시’를 전국 15개 상영관에서 6일간 단독 상영한다. 이 영화는 10분 내외의 짧은 러닝타임을 가지며, 티켓가는 단 1000원으로 저렴하다. 그럼에도 첫날 사전 좌석 판매율은 80%를 넘어섰으며, 많은 관람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CGV 관계자는 “이번 ‘스낵무비’ 시도가 성공적이라면 앞으로도 다양한 콘텐츠를 극장에서 선보일 계획”이라며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언급했다.

 

멀티플렉스 회사들의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에도 지속되는 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장기적으로 영화관의 본질적 가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