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게임 좀 보겠다는데…'한화' 이름도 못 부르게 하는 중국의 황당한 '밴픽', 이유는?

 중국의 한화그룹 제재라는 정치·경제적 문제가 세계 최대의 e스포츠 축제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까지 번지며 황당한 촌극을 낳고 있다. 한화생명이 모기업인 한국의 '한화생명e스포츠' 팀이 대회에 참가 중인 가운데, 중국 현지 중계진들이 팀 이름에서 '한화'를 의도적으로 지우고 영어 약자인 'HLE(Hanwha Life Esports)'로만 부르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 국가 간 갈등이 문화 영역에까지 노골적으로 개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전 세계 게임 팬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이 기이한 현상을 처음 감지한 것은 예리한 눈과 귀를 가진 중국 현지 누리꾼들이었다. 이들은 지난 15일 열린 한화생명e스포츠의 경기를 시청하던 중, 유독 이 팀을 지칭할 때만 해설진들이 팀명을 제대로 부르지 않고 'HLE'라는 약칭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한국 팀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T1', '젠지' 등 고유의 팀명으로 불리고 있었기에 이러한 차별적인 호명 방식은 더욱 도드라졌다. 의문이 증폭되던 가운데, 한 중국 프로게이머가 개인 방송을 통해 "중국 정부가 한화그룹을 제재 명단에 올린 이후, 대회 관계자들에게 '한화'라는 단어 자체가 금지어처럼 취급되고 있다"고 폭로하면서 모든 퍼즐 조각이 맞춰졌다.

 


이 모든 일의 발단은 지난 14일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한화오션에 대한 제재 조치였다. 중국 측은 한화오션이 미국의 대중국 무역법 301조 조사에 협조하여 자국의 해사·물류·조선업 분야 이익을 해쳤다는 이유를 들어, 한화오션과 그 자회사 5곳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 이 결정의 불똥이 엉뚱하게도 e스포츠 대회로 튀어, 한화그룹의 계열사인 한화생명이 운영하는 게임단의 이름에서 '한화'를 언급하는 것조차 막아버리는 상황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는 기업에 대한 제재가 해당 기업의 이름 자체를 공적인 방송에서 지워버리는,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검열의 형태로 나타난 셈이다.

 

정치와 경제 논리가 순수한 열정과 실력으로 승부하는 게임판까지 덮친 이 황당한 상황에 국내외 누리꾼들은 "정치가 게임에까지 개입하다니 한심하다", "스포츠맨십은 어디로 갔는가"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제로 한 중국 해설자가 중계 도중 무심코 '한화'라고 말했다가 스스로 놀란 듯 급히 'HLE'로 정정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하면서, 중국 내부의 경직된 통제 분위기를 짐작게 했다. 국가 간의 갈등이 전 세계 e스포츠 팬들이 함께 즐기는 축제에 재를 뿌리는, 그야말로 옹졸하고 한심한 행태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