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경제

외국인은 팔고 개미는 사고…'달러 블랙홀'에 갇힌 대한민국, 환율 1500원 초읽기

 외환당국이 연일 총력 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원·달러 환율 1500원 시대의 공포는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지난 14일, 장 초반 1475원선까지 치솟으며 연고점을 위협하던 환율은 당국의 강력한 구두개입과 실개입이 있고 나서야 겨우 1450원대로 내려앉았다. 코스피 지수가 3% 넘게 폭락하고 외국인이 2조 6000억 원이 넘는 주식을 내다 파는 최악의 조건 속에서, 사실상 당국이 온몸으로 환율 급등을 막아낸 형국이다. 이는 시장의 힘에 의한 자연스러운 안정이 아니라, 인위적인 조치로 쌓아 올린 위태로운 평화에 불과하다는 불안감을 증폭시킨다. 당국이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환율 방어 의지를 천명했지만, 시장의 근본적인 원화 약세 기대 심리를 꺾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문제의 핵심은 구조적인 달러 수급 불균형이다. 미국 주식 투자에 나선 '서학개미'의 달러 매수 행렬은 끝없이 이어지는 반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증시를 외면하며 원화 자산을 매도해 달러로 바꿔 떠나고 있다. 여기에 기업들의 대미 투자 부담까지 더해져 달러는 한국 시장에서 일방적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기대를 모았던 한미 정상회담 공동 팩트시트 역시 이러한 흐름을 되돌릴 만한 결정적 한 방이 되지 못했다. 기업의 연간 대미 투자 조달액 상한선이 명시되며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환율 하락을 이끌 재료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처럼 달러가 계속해서 유출되는 한, 당국의 개입만으로는 추세를 바꾸기 어렵다는 비관론이 팽배하다.

 


결국 당국이 기댈 곳은 '국민연금'이라는 마지막 카드뿐이다. 정부는 주요 수출기업들과의 면담을 통해 달러 매도를 유도하는 한편, 해외투자 비중이 막대한 국민연금을 향해 구원 요청 신호를 보내고 있다. 국민연금은 해외자산의 최대 15%, 약 115조 원에 달하는 규모의 환헤지가 가능해, 마음만 먹으면 시장에 상당한 규모의 달러를 공급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환율이 1480원 수준에 근접할 경우, 국민연금이 전략적 환헤지에 나서 환율 상단을 찍어 누를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게 제기된다. 이는 당국이 환율의 마지노선으로 여기는 심리적 저항선이 1480원대임을 시사하는 동시에, 그만큼 시장 상황이 절박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하지만 국민연금의 등판조차 '언 발에 오줌 누기'에 그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코로나19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개인의 해외투자와 기업의 투자 수요로 인해 달러 유출 압력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세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의 환헤지가 발동하더라도 환율의 상승 추세를 꺾고 하락세로 전환시키기는 어려우며, 단지 상승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에 그칠 것이라고 분석한다. 결국 올해 안에 1500원 선을 넘지 않더라도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는 한 내년에는 충분히 도달 가능한 시나리오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온다. 당국이 1500원이라는 숫자를 막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동안, 진짜 변수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과 같은 대외적인 환경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실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