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전한길, 美서 '정치적 탄압' 주장하며 방탄복 고백… 유튜브 수익 정지, 이민법 위반 '첩첩산중'

 한국사 스타 강사 출신으로 유튜브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전한길 씨가 최근 미국 방문 중 파격적인 발언과 행동으로 국내외에서 큰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트루스포럼'에 초청 연사로 참석하여, 최근 피격 사망한 미국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를 언급하며 자신 또한 저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와 함께 "실제로 걱정돼 150만원짜리 방탄복을 구입했다"고 밝혀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 씨는 지난 13일(현지시간) 트루스포럼 연단에서, 불과 며칠 전 유타주 토론회 중 총격으로 사망한 우익 단체 '터닝포인트 USA'의 창립자 찰리 커크를 자신의 롤모델로 지칭하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그는 커크의 비극적인 죽음을 언급하며 "언제 죽을지 몰라 이 행사를 오면서도 누가 총 들고 있을까 걱정돼 이틀 전 150만 원짜리 방탄복을 샀다"고 고백, 자신의 신변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러한 발언은 그의 주장에 대한 진위 여부와 함께 과도한 불안감 표출이라는 비판을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더욱 논란이 된 것은 전 씨가 찰리 커크 피살 사건을 한국의 정치 상황, 특히 '이재명 대통령의 종교 탄압'과 연결시켰다는 점이다. 그는 "일주일 전 한국에서 종교 탄압을 목격한 커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리겠다고 말한 뒤 3일 전 유타대에서 유명을 달리했다"는 다소 비약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는 커크의 사망 원인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와는 무관한 개인적인 해석으로, 사실 관계를 왜곡하고 정치적 의도를 부여하려는 시도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전 씨는 또한 미국 방문 이유에 대해 "언제 출국 금지·구속될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밝혀,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한 깊은 불신과 불안감을 내비쳤다.

 

한편, 전 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전한길뉴스'가 구글로부터 수익 정지 명령을 받았다는 사실을 공개하며, 이 또한 정치적 탄압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감한 문제'로 수익 정지 명령을 받았다"며, "이재명 비판이 민감한 문제가 된 것 같다. 불법이나 범죄를 저지른 적이 없고 정직한 보도를 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유튜브 측은 '민감한 콘텐츠' 정책 위반을 이유로 수익 창출을 중단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 씨는 이를 정치적 검열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그의 채널은 자율 후원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 씨는 채널에 직접 계좌 번호를 공개하여 '자율 구독료' 명목으로 시청자들의 후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전 씨가 연사로 참여한 '트루스포럼'은 국내 강경 보수 청년단체가 주최한 행사로, 2025년 대선 '부정선거론'과 '윤 어게인' 정당성을 미국 사회에 알리려는 목적을 가지고 개최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 씨의 발언들은 국내 보수층의 특정 정치적 주장을 대변하고 확산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더불어, 전 씨의 미국 방문 방식과 활동 내용에 대한 법적 논란도 제기되었다. 일각에서는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통해 미국에 입국한 그가 유튜브 라이브 후원 등 영리 활동을 한 것이 미국 이민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지적을 내놓았다. ESTA는 관광이나 단순 비즈니스 방문만을 허용하며, 영리 목적의 활동은 엄격히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지적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전 씨는 미국 이민법 위반으로 인해 향후 미국 입국에 제한을 받거나 법적 제재를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한길 씨의 이번 미국 방문과 발언들은 단순한 개인적 견해 표명을 넘어, 국내외 정치적 논란을 증폭시키고 여러 법적, 윤리적 문제 제기를 야기하며 큰 파장을 낳고 있다. 그의 주장이 사실에 기반한 것인지, 혹은 특정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함께, 그의 행동이 가져올 사회적 영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실시간 주요 뉴스